1880년대:여성의 손에 여성을 위한 학교가 생기다_근대 이후 한국 여성사 이야기

조선의 개항, 조선 여성 인권의 변화

1897년 2월 27일, 조선과 일본 사이에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 이 체결되었다. 이는 일본의 강압적 위협으로 이루어진 불평등 조약이었으나. 1636년 병자호란 이후 수 세기 동안 유지해온 통상수교 거부정책이 해체되며, 일본을 비롯한 서구 각국과 교류하게 되며 때마침 찾아온 미국의 선교 부흥으로 많은 선교사들이 한국에 찾아들게 되었다. 

이는 유교적 전통사회 속에서 가부장제에 순응하는 여성을 강요해왔던 우리 사회의 ‘여성상’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여성에 대한 인식변화와 여성 교육의 변화까지 끌어낸다.

우리는 부산항에 24시간 동안 머물 것이다. 멀리 보이는 언덕과 산들은 매우 가파른 바위 투성이었다. 무척 황폐해 보였다. 몇몇 조선인이 보였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온통 하얀 옷을 입었다. 그런데 모두 남자들뿐이었다. 조선의 여성들은 이름이 없다. 여자들은 해가 질 때까지 밖에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미국 선교사 로제타 홀 _ 1890 9월 24일 일기

미국의 선교사 메리 스크랜턴과 로제타 홀

1837년 미국 최초로 여성을 위하여 세워진 대학교 ‘ 마운트홀리요크대학’ 의 총장 메리 라이온은(Mary Lyon) 미국 여성들의 선교에 힘을 불어넣는 연설을 한다.

메리 라이온 (Mary Lyon) -미국 여성 교육의 개척자이자 1834년 먀사주사츠 주 사우스 해틀리에 여성신학교를 세우다.

“인류에 봉사하려거든 아무도 가려 하지 않는 곳에서 아무도 하려 하지 않는 일을 해라”

메리 라이온의 연설

당시 미국 사람들은 복음을 전하고 하나님 나라를 위해 헌신하며 사는 것을 특별한 부르심으로 여겼고, 메리 라이온의 영향으로 많은 미국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선교에 참여했다. 개항 이후 조선에도 많은 선교사가 찾아 들었고 그중 메리 스크랜튼과, 로제타 홀이 존재했다. 이들은 한국 여성인권 증진에 큰 기여를 하게 되는데.

한국 최초의 여성 학교 ‘이화 학당’

메리 스크랜튼은 53세이던 1885년 조선 땅에 도착했다. 그는 한국에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여선 교부 용지에 남자가 소유하고 있는 가옥을 사들였고, 그 초가집을 고쳐 이화 학당을 설립을 추진했다. 또한 스크랜턴부인의 이화학당을 시작으로 하여, 미국의 여성 선교사들은 주요 도시 곳곳에 기독교 여학교를 설립했다. 대표적인 학교로는 정신(1887) 영화(1892) 정의(1894) 일신(1895) 배화(1897)등이 있다.

하지만 당시 여성 교육을 기피하는 가부장적 사회 풍조와 서양인에 대한 배척이 더해져 초기 학생 유치에 큰 어려움이 따랐다. 그러다 스크랜턴 부인은 1886년 5월 31일 드디어 한 사람의 여성을 학생으로 맞이하는데 그것도 학생의 어머니에게 학생의 성년까지의 신변을 보증한다는 서약서까지 작성하고 입학시킨 것이다.

선교사 스크랜튼

당시 남성의 그림자로서 존재하다시피 했던 조선 땅에서 여학생을 유치하는 것은 하늘의 별을 따는 것과 같았고. 그 고충은 이화 이후 세워진 다른 선교사들의 학교 또한 마찬가 지었으며. 대부분의 학교가 부랑하는 아이나 가난한 집의 아이를 학생으로 얻어 이를 숙식을 모두 제공하며 양육하고 교육하기에 이른다. 1887년 명성황후는 스크랜턴 부인의 노력을 격려하고자’ 이화학당’이라는 교명을 지어주었다.

또한 스크랜턴은, 한국에는 여성이 남자가 운영하는 병원에 갈 수 없는 악습이 있는 까닭으로, 한국 여성들만을 위한 병원 설립 기금의 청원을 미국 감리교의 여성 해외 선교부에 제출하였으며. 이것이 승인되어. 이화학당의 구내에서 여성 환자를 치료하게 되었고 이것이 우리나라의 최초 여성 병원 ‘보구여관’이 되었다. 보구여관에서는 이화의 여학생 졸업생 5명이 선교사 로제타 홀에 의료교육을 받게 되었다. 이는 1928년 경성 여자 의학강습소로 발전되어 여성을 위한 공식적인 의학교육 기관의 토대가 된다.

한국 최초의 여성 교사 이경숙

이후 충청도 홍주에 가난한 양반 집에 태어나 전쟁으로 일찍이 남편을 잃게 된 ‘이경숙’은 친정에 머물며 살다 하급 관리였던 아버지가 죽으며 가세가 기울어 친척 집을 전전하며 가사를 돕는 곤궁한 삶을 이어가야 했다. 하지만 우연히 친척을 통해 스크랜턴을 만나게 되었고. 조선 전통사회에서 천대받고 멸시당하던 가난한 집의 과부를 귀한 손님으로 맞이하는 스크랜턴의 태도에 놀랐으며. 스크랜턴 부인의 양딸이 되었다. 양반 가문에 태어나 한글과 한자를 익히고 있던 그는 한글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많은 부녀자에게 서양문명을 이해시키는데 힘썼고. 그 후 이화 학당의 학생 수가 많이 늘어나게 된다. 그는 근대식 여학교의 대중화에 큰 기여를 했다.

1898년 최초의 여성단체 찬양회, 여학교를 만들다

1898년 9월 1일  북촌의 양반 여성이었던 이소사 김소사를 명의로 ‘여성도 사람이다’ 라는 「여학교 설시통문(女學校設施通文)」『여권통문』이 발표되었으며. 여성단체 한국 최초의 여성단체 ‘찬양회’ 가 만들어졌다. 찬양회는 여학교 설립 후원을 목적으로 개화사상을 가지고 있는 여성들이 모여 발족하였다. 이는 400명의 회원을 가지고 있었고 집회때 마다 방청인이 100여명 정도 모일 정도로 큰 집단이었다. 이들은 ‘관’이 주도로 하는 관립 여학교 설립을 위해 회원 ‘100’명과 대궐문 앞에 나아가 관립 여학교 설립 청원 상소문을 고종 황제에게 제출하였다. 하지만 정부는 여성 교육에 냉담하였고, 1899년 2월 26일 어의동 에서 여학생 30명으로 순성여학교를 개교하였다. 찬양회는 순성여학교를 관립 여학교로 만들자 했지만 재정 부족 및 여성 교육을 반대하는 세력에 의해 실현되지는 못했다. 하지만 이는 한국인에 손에 세워진 최초의 여성학교이자. 여성 민간인이 설립한 학교이다 교장 양현당 김씨는 1903년 사망하기까지 사재를 털어 여성 교육에 전념하였다. (신여성이야기)

황귀비의 손에 세워진 여성 학교

고종 황제 제1후궁 순헌황귀비 영월 엄씨
순헌황귀비 엄씨(純獻皇貴妃 嚴氏, 1854년 2월 2일/음력 1월 5일 ~ 1911년 7월 20일)는 대한제국 황제 고종의 후궁

1895 명성황후가 시해된 사건 을미사변 이후 1905년, 을사늑약 채결이 되며 본격적인 국권침해가 시작되자 개화자강파를 중심으로 ‘나라가 부국 자강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산업이 발전을 통한 실력양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신념이 퍼져 나갔으며 각종 애국계몽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애국계몽운동중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교육구국운동育救國運動이었으며. 당시 사립 학교의 수가 2,300여개에 달하였음으로 운동의 여파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구국 열풍이 속에서도 가부장적 가치관 아래 여성 학교 설립은 미진한 움직임을 보였고, 1903년 황귀비가 된 순헌황귀비 엄씨가 나서서 지원을 시작한다. 엄씨의 지원에 의해 1905년 양정의숙(양정고등학교)을, 1906년 진명여자고등학교와 사립명신여학교(숙명여자고등학교)이 설립되며 . 이후 고육구국운동과 여성 교육의 필요성이 퍼져나가며 민간인의 의해 ‘동덕의숙‘(1908)이 설립되기 까지 이른다.

100여년전 수많은 여성들의 노력으로 마침내 한국땅에도 여성 교육의 시대가 열렸다. 우리는 그들을 기억하며 계속 더 나은 미래를 써 나아갈 것이다.

참고자료: 경기도에서 이뤄진 조선의 개항… 한국 근현대사 시작이 되다[중부일보] , [정재걸의 역사 속 교육]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학교 [에듀뉴스] , 다큐맨터리 선교사 조선을 비추다’ – 메리 스크랜턴과 로제타 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보구여관 이화학당 구국교육운동 동덕여자고등학교, 역사속의 이화 메리스크랜톤 , 이화학당과 메리스크랜턴 선교사 , 감리교회 역사자료 검색 서비스 이경숙 , 책: 닥터로레타 홀 ,책 :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2, 우리역사넷 찬양회 , 신여성이야기 ,스크랜턴대부인 블로그자료

여성들의 기록은 계속되어야 한다.

Copyright 2019. (박수연) All rights reserved.

마중글, My First Blog Post:: 버지니아 울프 이후 100년 21세기인 지금도 한국의 여성들에게는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

I like to have space to spread my mind out in

내 생각이 퍼져나갈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

Virginia Woolf 버지니아 울프
https://filippoventuri.net/2010/12/24/virginia-woolf/

블로그를 오픈하고 글을 쓰기까지 많은 고민이 있었습니다.

저는 2015년 이후 짧다면 짧은 게 길다면 긴 시간 동안, Feminism 운동 즉 여성해방 운동을 해왔습니다.

저를 마주하는 제 주변의 많은 사람이 제가 왜 여성해방을 외치게 되었는지, 여성이 무슨 차별을 겪는지 우리가 무엇을 하면 좋을지 4년 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무엇을 했는지 등등 많은 것을 묻곤 합니다.

저는 그런 질문에 항상 무엇부터 설명해야 할지 말을 잃습니다. 2015년 페미니즘 붐이 일어난 이래 운동에 전념했던 4년에 기간 동안 무수히 많은 일이 있었습니다. 많은 것이 달라지고 바뀌었습니다. 폭풍이 휘몰아치는 것 같았죠.

저는 제가 보고 읽었던 자료를 혼자 한글 파일이나 메모장에 적어두기도 했지만. 인터넷에 자주 올렸던 것 같습니다. 저는 그 과거의 기록들을 그들에게 보여주거나 소개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여성해방에 관련된 정보는 대부분 정제되어 있지 않고, 대개 SNS나 카페에 파편적으로 흩어져 있습니다.

요즘은 모두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소통하곤 합니다. 그곳은 간편하게 단편적인 공유하고 주변 사람들의 반응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저 또한 그런 소셜 네트워크를 좋아하는 사람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정보 글을 찾아보기에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에 크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정보의 휘발성이 강하다는 것입니다. 가볍게 쓰인 글이니만큼 가볍게 지워버리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글이 정보보다는 ‘소셜네트워크’ 즉 일상적인 소통에 앞서 데이터화되지 않은 글이 대부분입니다. 또한 정리되지 않고 쌓여나가는 특성상 시간이 흐르고 나면 본인이 어떤 정보를 올리고 주장을 했었는지 쉽게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검색기능도 잘 제공이 안 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 글만을 골라내 보여주는 것도 어려운 일이죠.

중요한 정보가 밀집되어 올라오는 카페나 커뮤니티는 폐쇄적이거나, 금방 폐쇄되는 경우가 잦았습니다. 글을 삭제하고 떠나는 사람도 많았고요. 오픈된 커뮤니티는 오픈되어 있지만 오픈된 만큼 많은 공격을 받았고, 그만큼 폐쇄적인 규칙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잦았습니다. 분란과 싸움이 많은 만큼 그들이 올린 글 또한 삭제되고 다시 올라오기를 반복합니다.

그 속에 휘말려 제가 보고 영감을 받았던 자료들도, 힘을 들여 정리해 올린 정보들도 그렇게 인터넷 속에서 사라지거나 보이지 않는 자료가 되곤 합니다.

인터넷의 정보는 다들 영원하다고 생각 하지만 사실 영원한 것은 아닙니다.

인터넷에서 쉽게 블로그나 카페를 만들 수 있지만- 블로그 카페 운영을 하게 된다면 관리자의 검열에서 자유롭기 힘듭니다. 2015 성폭력에 대한 실태를 고발하는 글이 네이버 블로그 다음 카페 등에 올라오지 못했던 이유는 바로 그 글들이 ‘커뮤니티 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네이버, 다음 등의 관리자에 의해 삭제당했기 때문입니다.

바로 음란하다는 이유였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삭제된 글을 직접 확인해 보았을 때 그 글들은 전혀 음란한 글이 아니었습니다. 최소한 저에게는요. 2016년 비슷한 이유로 생리컵의 대한 정보글들이 사라지고 여성들은 분노했죠. 분노한 여성들은 그렇게 삭제된 글들에 대해 격렬하게 항의의 말을 보내기도 하였지만. 그들이 올렸던 글 또한 또한 비슷하게 사라지곤 합니다. 마치 아무도 분노하지 않았던 것 처럼 말입니다.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입니다. 소통을 원하고 인정,존중을 원합니다. 하지만 불편함에대한 침묵이 강요되고 열심히 싸워왔던 기록이 사라지는 것이 반복되자 당연스럽게 무기력함을 느끼고 맙니다. 인정받지도 존중받지도 못한것이니까요.

그렇게 말할 창구를,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를 잃고 우리는 또다시 입맛에 맞는 커뮤니티를 찾기 위해 떠돕니다. 어느 순간 그렇게 방랑자처럼 살아가는 것에 지쳐 커뮤니티를 운영하자니 원하는 만큼 홈페이지를 키우고 운영되기 위해 지출되는 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사실 영원할 수 있는 정보는 누군가의 흥밋거리가 되어 무분별하게 퍼 날라지는 정보이거나, 계속 누군가에게 필요해지고 그 가치가 인정받으며 정당한 대가를 받는 정보들일지도 모릅니다.

21세기 디지털 문명이 ‘정보생산자’가 될 기회의 장을 넓힌 것은 사실이나 사실 정보가 유통되는 메커니즘은 과거와 비슷해 보입니다. 아주 오래전 그리스 시대의 이야기, 즉 ‘정보’가 지금까지 전승된 것은 그때의 정보 생산과 저장 방식이 완벽했기 때문이 아닌, 누군가의 말이 ‘정보’로서 오랜 시간 동안 누군가에게 화자되며 소중히 여겨지고 그 가치를 인정받았기 때문인 것처럼 말입니다.

저는 어디에 제 글을 올려야 사라지지 않을 수 있을까요?

여러가지 경험 속에서, 제일 먼저 떠오른 방법은 사실 출판이었습니다. 출판을 한다면 도서관 어딘가에서는 제 자료가 계속 남아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막상 방 안에 앉아 출판을 위한 글을 쌓아나가고 있으니, 21세기 소통에 익숙한 플랫폼을 써오던 저에게는 너무 답답한 일이었습니다.

출판사에 글을 넣어보려면 글이 어느 정도 쌓여야 할 텐데 말입니다.

결국 제가 경험해왔던 기록을 외부에 연재하기로 결심 했습니다. 그 이후 저는 정리되지 않은 글을 쌓아두고 브런치, 네이버 포스터, 딜리헙, 포스타입등 여러 가지 플랫폼을 돌아다니며 고민했습니다.

하지만 어떤 플랫폼을 써야 할지 어떤 글을 써야 할지, 혹시 연재 중, 내가 쓴 글이 누군가의 신고에 의해 차단되지 않을지. 다시 커뮤니티를 떠돌던 그때처럼 긴 고민을 하게 되는 것은 똑같더군요. 문득 20세기 시대를 앞서나간 위대한 작가 ‘버지니아 울프’의 책 자기만의 방(a room of one’s own)을 떠올랐습니다.

지금 제가 걱정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말입니다.

여성은 자기만의 재산과, 방해받지 않고 창작할 수 있는 ‘자기만의 방’이 있어야 한다.

-버지니아 울프

어쩌면 우리는 우리가 존재하고 있던 인터넷 공간이 모두에게 평등하고 자유로운 곳이 아니라는 것을 이제야 깨닫게 되어버렸습니다.

지금도 100년 전과 마찬가지로 여성들에게는 ‘정보생산자’로서 자신의 의견을 펼칠 수 있는 공간, 오로지 자신에 대하여 생각하고 그 생각을 퍼뜨릴 공간, 즉 자신만의 방이, 그 방을 다루고 만드는 방법이 필요한 게 아닐까요?

이런저런 도전과 고민을 반복하다가 결국 제가 이용할 수 있는 가장 개방적이며 자유로운 플랫폼인 워드프레스로 블로그 형식의 개인 홈페이지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제 홈페이지에 방문하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는 이곳에 컴퓨터의 대한 정보와 반성폭력 운동에 관련된 경험과 일상을 이곳에 차곡차곡 정리해 나갈 생각입니다.

정보글을 보고 도움이 되었다면 다른 누구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게 스크립을 해주세요! 홍보를 해주시면 대단히 감사합니다. 댓글을 남겨주시거나 후원해주셔도 좋습니다. (나중에 구글 에드센스를 달 생각이라서요)

여러분들의 후원은 월 10달러 가량 되는 기본 운영비에 보탬이 되며, 더 좋은 정보가 나올 수 있는 거름이 됩니다.

Buy Me A Coffee

여성들의 말하기는 계속되어야 한다.

Copyright 2019. (박수연) All rights reserved.

#버지니아울프 #자기만의방